My house was located on bottom of a hillside. The hill stretched out far distance to Mt Ahn; the mountain could be seen even from downtown 신촌(Shinchon). The Mt. Ahn drew my attention late winter in February as winter brings its last cold spell. At this time of the year, I would form a habit of staring at the mountain through windows of bus coming from school. The staring then becomes a ritual of thawing my sprits that have been weathered over the winter in late Feburary. When the weather gets warm and the black school uniform starting becoming a bit uncomfortable to wear and fragrance of flowers slowly starts spreading in the air, my fervent zeal to catch the glimpse of the mountain gets hightened as I designated the mountain with flasy color of flowers be the official harbinger for arrival of spring. This is especially so when the landscape of Ahn Mt. becomes visible as bus coming from my middle school in AnGukDong on sunny afternoons making its way half a circle at ShinChon rotary. When the mountain started coming into the view as I stand in the bus holding a handle above my head with my hand, my fervent zeal of peering through the gaps amongst the passengers to catch the view of the mountain gets hightened. At that time, it seemed the mountain is bathed in the warmth of spring that caresses my soul as if a baby feels the touch of mother's bossoms. I lived in Shinchon within walking distance from the mountain. The mountain was not visible from my home standing in the front yard, but I could see the mountain top with a radio transmission tower right outside of my house. As I come out of the front entrence of my house, turning my head 90 degree would make me to see the mountain in the far distance behind the roof of my neighbor's house. My grandmother settled on this hillside purchasing a piece of land right after the Korean War. She built several houses on the lot to be able to live together in the close proximity with her married sons, including the two-story building that she aimed to make a commercial use. I vaguely remember when she was involved in building the two-story building at the time, but the memories are kept in me as fragmented pieces; piles of sands dumped for smoothing the exterior wall, the texture of the exterior wall I felt right after the building was completed, etc. I heard that after the building was built, it was sold off to someone else. My grandmother became ill after a period of time with the mounting debt had incurred as a result of not being able to supply cash while the building was under construction. Before she fell into her illness, I remember when she was taking me to 봉원사(Bongwon temple), a Buddhist Temple located at the foothill of Mt. Ahn. It must have been when I was around 5 years old, not used to taking a long walk. I don’t have recollection for the entire trip, but I remember instances when I was coming home, walking with her coming from the temple on a scorching hot summer day. My grandmother was wearing a light colored traditional clothes holding a parasol. The oppressive heat and poignant sunlights made me to trudge and caused unbearable irritations on my skin. Her white traditional socks, 버선(Bersun), and her shoes, 고무신(Gomooshin), were too bright to see with its reflection with my bare naked eyes, which made me to immediately turn my head away to lay my eyes on her dress instead. Grandmother was holding a parasol, that formed a shade behind her. So I moved over to follow behind her under the moving shadow. Entering the one end of field hockey field at 연세대(Younsei University) and then gazing at the field, a moment of undue feeling of vexation spurred into my mind as I saw a long distance of walking still lies ahead. I experienced the scorchness of August in Korea on the day when I was five years old as I trudged along behind my grandmother stepping on the shade of my grandmother holding a parasole formed behind her heading home.
My old house was built with clay where straws sticking out on the surface of foyer ceiling. Swallows built a nest high up on the ceiling where bare electric wire was running. The swallows came every spring to the same nest. I am like a swallow who just arrived to the nest after a long trip from the south. On a nice spring day, the swallow would fly over to GyungBok Palace nearby and perch on a titled roof and stare at a clear court yard and become reflective of the yesteryears.
2010년 5월 22일 토요일
2010년 5월 21일 금요일
수준미달의 언론
얼마전에 "스타 킹"이라는 한국 연예 프로에서 한 하바드졸압생이 나온걸 YT로 보았다.
이 하바드졸업생은 하바드를 다니는 동안에 가요가 자기에거 공부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며
가요을 부르는 가수가 되길 희망한다고하며 지금은 사람들에게 어떻게하면 하바드를 갈수있는지
강의를 하며 산다고 자기를 소개하였다. 이 프로그램에는 여러명의 연예인들이 같이 나와서 자기의 생각을 피력했는데, 이 말이 나오자 저마다 어떻게하면 하바드대를 가는지에 대해 물어보는 것이였다.
이연예인들은 그사람의 노래를 들어보려는생각은 뒷전에두고 "하바드대에 들어가기"에만 관심을 보였다. 미국에 하바드대 학생이 American Idol에 나와도 사람들이 이런 질문을할까 생각해보았다. American Idol는 어떻게 처리했을까? 미국프로그램에는 단지 "하바드대 졸업한사람"이라고 소개는 하였을테고 그다음 질문은 "하바드대을 나왔는데 어떠한 이유로 가수가되기를 희망하는가?"하고 물어보고 그사람의 노래를 들어보고 노래실력을 알아 보고 싶어 했을 것이다. 하지만 "스타 킹"에서는 "하바드들어 가기에"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나는 이프로그램을 보면서 하바드 졸업생, 한국사람의 생각, 그리고 한국과 미국의 생각의 큰 차이를 발견하게됐다.
첯째, 연예인들이 왜 하바드에 가는것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을까?
둘째, 왜,PD는 자기의 열등감을 프로그램에 표출시키는 겄일까?
나는 이 프로그램을 보면서, 대중 미디어를 다루는 PD나 연예인들이 "우매한 국민"의 생각을 바로잡아주고 생각을 발전 고취시키는데 하나의 도움이 안되고 있다는 생각이든다. 오히려 국민을 저질화 시킨다고 볼수있다. 미국의 언론은 국민들의 생각의 틀을 어느정도 잡아주는 역할을 잘 담당하고있다. 물론, 9/11직후 언론의 횡포도 간과 할수는 없겠지마는, 미국언론 같으면 대충 이 졸업생이 하바드는 나왔지만, 지금은 고작 "하바드를 어떻게 가는지" 알려주는 강사로 밖에는 그사람의 업적에 대해 과대포장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너는 하바드를 나왔지만 특별히 재주없는 별볼일없는 강사"로 취급할겄이다. 타이거우즈가 스캔달이 있기전과 후에 미국의 언론이 타이거를 어떻게 보고있는지 어떻게 대하는지 알면 미국언론의 역할은 알수있다. 미국언론은 타이거의 외도을 다룰때 도덕적인 잣대를 오랫동안 갖다댔다 그리고 "용서"쪽으로 몰고갔다. 하지만 인제 언론은 "타이거의 도덕성이 금이가고 예전의 마냥 화려한 시선으로만으로 그를 보지 않는다. 언론은 아마 타이거에거 "너는 여느때처럼 골프의 황제이긴해도 그렇고 그런 인간이되어 버렸어."하는 시각으로 바라볼겄이다. 한마디로 미국언론은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처럼사회의 도덕을 지키는 가치를 창조하고 진보시키는 지휘자 역할을 담당한다. 아마도 윤리심의회의 "fine tuning"이라고나할까 연예 프로그램이라도 쓸데없는 짓은하지않는다. 미국의 언론은 1+1=2, 즉, 답이 2에 근접해 있다. 답이2가 아니더라도 2.3이 혹은 2.4, 즉 2에 근접해있다. 하지만 우리는 한국언론이 종종 피해망상과 열등감에 찌들어있어, 답이 5, 7, 16이 되기도 한다. 이것은 언론인의 객관적인 생각을 못해서이다. 훌륭한 언론인은 이런 객관성있는 사고을 할줄 알아야한다. 언론인은 공과 사를 구분 할줄알아야되며, 무엇이 올고 무엇이 그른가를 팔별 할줄알아야한다 그래서 사회가 삐뚤어 가지않게 또랑으로 빠지지않게 이끌어야 한다. 이러한 올바른 언론인을 키워내기위해서 대학에 "문과"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래서 미국에는 수준높은 문과대학이 많다. 우매한 국민이 이 프로그램을 보고 자기네들처럼 "난 하비드않나왔으니깐 못난사람"으로 생각하게만드는 오류를 맊아야한다. 언론인들은 사회의 하모니를 만들기위해 지휘를 하는사람들이다. 훌륭한 콘서트을 하기위해 온갖 힘을 쓰고 책임을 느낀다. 한데, 한국에서는 언론인들이 그역할을 못하는 이유는 무었인가? 왜 국민을 더 몽매한데로 이글려는지 알수가없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
Stuck in a library
Life is made up of a bunch of stories. There are sweet ones and sour ones. The sweet ones are treasured and they are taken out to be remini...
-
A long time ago in a small village, Mapo in Seoul, an old man lived with his family. He was referred to as "호랑이 할아버지" to many...
-
누구나 뽀나구가 나는 걸 좋아한다. 뽀다구가 잘 나야 이성도 생기고 직장도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간다.. 성공한 사람은 반짝반짝 빛나는 검정색 세단차에 운전사가 있어야 했던 때가 있었고, 반바지 입고 데이트에 나가도 뽀다구 구겼다고 그다음 부...
-
When a person is hit by a car and hurt badly, there is a place has been set aside for the injured person to be taken immediately like an em...